2025-04-18
HaiPress
서울의 한 빌라 밀집지 모습 [매경DB] 정부가 다음 달부터 입주 신청자의 소득·자산을 따지지 않는 비(非)아파트 전세임대주택을 공급한다.
1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주택사업자는 오는 5월 전세임대주택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낼 예정이다.
전세임대는 입주 대상자가 직접 거주하기 원하는 주택을 구하면 LH가 집주인과 전세계약을 맺은 뒤 이를 입주자에게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제도다.
앞서 정부는 작년 8·8 대책을 통해 소득·자산과 무관하게 최대 8년간 거주할 수 있는 전세임대 유형을 신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동안 전세임대 대상은 저소득층과 청년,신혼부부였지만,전세사기 등으로 침체한 비아파트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중산층도 이용할 수 있도록 전세임대 사업을 확대했다.
올해 공급 목표 물량은 5000가구다. 이를 위한 예산 5200억원이 책정돼 있다.
확대되는 비아파트 전세임대 모집 대상은 무주택자다. 신생아 출산가구와 다자녀 가구를 1순위로 우대한다.
수도권에서는 전세보증금 최대 3억원까지 전세임대를 신청할 수 있다.
LH 등 공공주택사업자는 신청자가 구해온 전셋집 보증금을 수도권 기준으로 최대 2억원까지 지원한다. 3억원짜리 전셋집이라면 신청자가 1억원을 부담해야 한다. 광역시는 최대 1억2000만원이 지원 한도다.
LH가 지원하는 보증금 중에서도 20%는 입주자 부담이다. 입주자가 2억원짜리 전세를 얻는다면 4000만원을 부담하고,월 임대료로 13만∼26만원을 내야 한다. LH에서 전세대출을 받아 연 1∼2%대 이자를 부담하는 셈이다.
이 제도는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에 LH가 가입하고,안전한 집인지 확인한 뒤 전세계약 절차에 들어가기 때문에 세입자가 보증금을 떼일 위험이 낮다.
정부는 올해 5000가구에 이어 내년에도 소득·자산을 따지지 않는 비아파트 전세임대 5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월세·관리비는 네이버페이로…홈스페이,결제 선택 폭 넓힌다
“집값 떨어져 전세금 못 올리니 월세라도”…전국 월세 비율 60% 첫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