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HaiPress
이제 가공공장은 '퍼스트 키친'
고객 식탁까지 신선함 전할 것
양재물류센터,서울 랜드마크로

2029년 완공 목표인 하림 도시첨단물류단지 조감도.
김홍국 회장은 2005년 매일경제에 짧은 칼럼을 연재한 적이 있다. 그중 '부엌의 가출'이라는 원고에는 20년이 흐른 지금을 예견한 듯 이런 대목이 나온다. "가족의 음식을 만드는 가정의 부엌들이 집을 나갈 것이다. 그 부엌들이 모여 커다란 주방을 이루게 되는데 그곳이 바로 식품 가공공장이다. 앞으로는 많은 사람이 식품공장이라는 큰 주방에서 만든 식품을 먹게 될 것이다."
그가 전북 익산에 종합식품 가공공장을 지은 것은 그래서였다. 일명 '하림퍼스트키친'이다. 그의 표현대로라면 가정의 주방은 가볍게 조리하거나 식사를 하는 '세컨드 치킨'이고,음식을 만드는 큰 주방은 식품 가공공장인 '퍼스트 키친'이라는 뜻이 담겼다. 그는 "그곳에서 차로 20분 정도 떨어진 국가식품클러스터에 또 다른 주방을 짓고 있다"고 했다. "2000억원 정도 투자한 식품 가공공장입니다. 육류 가공식품을 전문적으로 다룰 곳이지요. 2027년 초 가동에 들어가면 익산에 하림을 포함한 식품업의 삼각편대가 완성됩니다." 지난해 온라인 전용 첨단 물류센터(FBH)를 만들어 가동에 들어간 것은 그 연장선이다. FBH에서는 제조공장 생산라인과 물류센터 보관라인이 컨베이어로 연결된다. 제조공장에서 택배 포장·배송 단계까지 '원스톱'인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지난달 출시한 신선식품 배송 플랫폼 '오드그로서'와도 연계된다. 예컨대 오늘 낳은 달걀을 오드그로서로 주문하면 24시간 내 소비자에게 도착한다. 그의 표현대로라면 "새벽배송에서 한 단계 진화한 '생산배송'"이다.
"식품사슬을 체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최고의 맛을 고객들에게 전해야 한다는 하림의 식품 철학과 궤를 같이합니다.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 도시첨단물류단지를 조성 중인 것도 이를 위해서입니다. 수도권 고객들이 가장 신선한 식품을 맛보려면 도시 중심에 물류단지가 있어야 하고,첨단 자동화·지능화된 운영 시스템을 갖춰야 하죠." 양재동 도시첨단물류단지는 하림이 6조8000억원을 들인 초대형 프로젝트다. 양재동 225의 면적 8만6000㎡(약 2만6015평) 토지에 첨단물류단지와 업무·주거·상업·연구시설을 아우르는 '콤팩트시티'를 조성할 계획이다. 내년에 착공에 들어가 2029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회장은 "양재동 도시첨단물류단지를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끌어올릴 랜드마크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시균 기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Powered by
perplexity
7,390
0.00%
하림지주
현재가 7,390
0.00%
10.31 15:30
하림지주(HARIM HOLDINGS CO.,LTD.)는 국내 대표적인 종합식품 기업입니다. 닭고기 가공 및 유통을 기반으로 다양한 육류·가공식품,즉석밥,면류,소스 등 HMR(가정간편식)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익산에 구축한 '하림푸드 트라이앵글'(퍼스트키친,국가식품클러스터 등)과 첨단 자동화·지능화 물류센터(FBH),수도권 양재동 도시첨단물류단지 등 대규모 시설 투자를 통해 제조·물류·유통 전 과정을 통합 운영하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퍼스트키친은 공유주방형 종합식품 생산공장으로,라면·즉석밥·육수·소스·천연조미료 등 다양한 HMR 제품을 생산하며,FBH와 연계된 원스톱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생산부터 배송까지 효율적으로 운영됩니다. 오드그로서 신선식품 배송 플랫폼은 생산 즉시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구조로 신선식품 품질과 배송 효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양재동 도시첨단물류단지는 첨단 자동화 시스템을 갖춘 대형 프로젝트로,수도권 고객에게 신선한 식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Powered by
perplexity
대형 식품 가공공장 확산이 전통 가정식 문화에 미칠 영향은?
도시첨단물류단지 조성이 수도권 식품 유통 구조에 가져올 변화는?
검색